반응형
인도네시아 발리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최고의 거주지 중 하나로 꼽힙니다. 쾌적한 자연환경, 저렴한 물가, 코워킹 스페이스, 외국인 커뮤니티 등 장기 체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죠.
2025년 현재, 인도네시아는 외국인 원격근무자를 위해 공식적으로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도입하고 있으며, 여러 유형의 장기 체류 비자 옵션도 병행 운영되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발리 비자 종류와 신청 전략을 정리해드립니다.
1.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비자 옵션 총정리
비자 종류 | 체류 가능 기간 | 연장 가능 여부 | 주요 대상 |
---|---|---|---|
B211A 사회/비즈니스 방문 비자 | 60일 + 60일 + 60일 (최대 180일) | 가능 (최대 2회 연장) | 단기 체류 디지털 노마드 |
Digital Nomad Visa (계획 중) | 최대 5년 (소득 요건 충족 시) | 미정 (도입 예정) | 원격근무자, 외화소득자 |
Second Home Visa | 5년 or 10년 | 가능 | 고자산 외국인 (예치금 요건 있음) |
KITAS (임시 체류허가) | 1년 | 연장 가능 | 장기 거주자, 사업/취업 목적 |
2. 대표적인 비자 3종 상세 가이드
① B211A 비자 (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기 비자)
- 처음 60일 체류 가능, 이후 2회 연장으로 총 180일까지 체류 가능
- 관광 목적이 아닌, ‘비즈니스/사회 방문’으로 발급
- 온라인 또는 에이전시 통해 신청 가능
- 요구 서류: 여권, 왕복 항공권, 자금 증빙, 건강보험 등
- 노마드가 가장 현실적으로 많이 쓰는 비자
② Second Home Visa
- 2022년 도입된 5년/10년 장기 체류 비자
- 발급 요건: 인도네시아 내 예치금 2,000억 루피아(약 1억 7천만 원)
- 부동산 투자 또는 자산 이전을 계획하는 고자산 외국인 대상
- 가족 동반 가능
③ KITAS (Kartu Izin Tinggal Terbatas)
- 임시 거주 허가 (취업, 사업, 가족동반 등 목적)
- 발급은 스폰서(고용주/사업체) 필요
- 노마드가 현지 법인 설립 시 신청 가능
- 비자에서 체류허가 단계로 전환되는 개념
3. 디지털 노마드 비자 출시 현황 (2025)
인도네시아 정부는 공식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2025년 중 도입할 예정입니다. 발표된 초안 기준:
- 최대 5년 체류 허용
- 인도네시아 외부에서 발생한 소득에 한해 면세 혜택
- 온라인 신청 가능
- 연 수입 요건(약 $35,000 이상) 예상
📌 최신 정보 확인 사이트: 인도네시아 이민국 공식 홈페이지
4. 비자 신청 시 주의할 점
- B211A 비자는 관광 목적이 아님 → 사회 방문으로 신청해야 안정적 승인
- 여권 유효기간 최소 6개월 이상 필수
- 보험가입서 (여행자보험 또는 국제건강보험) 제출 권장
- 에이전시 활용 시 수수료 확인 (약 $150~$300 수준)
5. 발리 장기 체류의 장점
- 한 달 렌트 약 30~60만 원대 (지역별 차이)
- 코워킹 스페이스 다양 (Dojo, BWork 등)
- 비건 식당, 요가 클래스 등 노마드 친화 인프라 우수
- 빠른 인터넷 (다운로드 평균 50~100Mbps)
결론: 현실적인 선택은 B211A, 미래를 본다면 디지털 노마드 비자
2025년 현재, B211A 비자는 가장 널리 사용되며 6개월까지 안정적인 발리를 누릴 수 있는 방법입니다.
하지만 인도네시아 정부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새로운 비자 정책을 준비 중이며, 도입되면 세금 혜택 + 장기 체류 + 간편 신청이라는 큰 장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.
지금은 B211A로 시작하고, 추후 디지털 노마드 비자 도입 시 전환하는 전략이 현실적입니다.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기 해외 체류 시 주의해야 할 의료 시스템과 긴급상황 대응 전략 (2025) (2) | 2025.05.07 |
---|---|
해외 거주자를 위한 안전한 송금 방법 비교 (Wise, Revolut, Payoneer) (2) | 2025.05.06 |
태국 장기 체류 비자 종류와 신청 요령 (2025 최신) (1) | 2025.05.04 |
장기 체류자를 위한 국제 은행 계좌 & 다중통화 카드 활용법 (2025) (1) | 2025.05.03 |
해외 프리랜서를 위한 세금 신고 요령 (2025년 국세청 기준) (0) | 2025.05.02 |